○ 음력은 달의 모양 변화로 한 달 기준
올해 추석은 예년에 비해 1, 2주가량 빨라졌다고 한다. 추석 날짜는 왜 이렇게 매년 변할까. 추석은 ‘음력' 8월 15일. 달과 계절 변화를 함께 고려한 ‘태음태양력'이 기준이 된다. 그러나 우리가 보는 달력은 태양의 고도를 기준으로 1년을 나눈 ‘양력'이다.
음력은 달이 보이지 않는 합삭일에서 다음 합삭일이 되는 기간을 한 달로 정해 29, 30일이 반복된다. 음력을 사용하면 1년이 약 355일로 태양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는 1년 365일보다 열흘이 부족하다. 이렇게 10년이 지나면 9월에 눈이 내리는 광경을 목격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줄곧 태음태양력을 사용하다가 1896년 고종이 양력을 채택하면서 1895년 11월 16일 다음 날이 1896년 1월 1일이 됐다.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천문연구센터 선임기술원은 “음력에서 3년에 한 번씩 윤달이 돌아오는 것은 부족한 열흘을 채우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 달크기, 보는 위치따라 달라 보여
올 추석 서울에서 달이 뜨는 시간은 오후 6시 20분. 하지만 기상청은 추석 당일에 비가 올 가능성이 크다고 예보해, 쟁반같이 커다란 보름달을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평소보다 크게 보이는 보름달을 보지 못할 듯해서 아쉽다. 그런데 추석 달은 정말 더 큰 걸까.
달의 크기는 일정하지만 지구에서 보는 달의 크기는 시시각각 변한다.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형으로 돌고 있기 때문이다. 가까이 있을 때는 약 35만 km, 멀리 있을 때는 약 40만 km 떨어져 있다. 달이 지구와 가까워지는 때는 매년 다르다. 올 추석 지구와 달의 거리는 40만 km다. 사람들이 추석 보름달을 유독 크다고 느끼는 것은 시각적 효과 때문이다. 머리 위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그믐달이나 초승달에 비해 보름달은 상대적으로 우리 눈과 가까운 지평선 부근에서 나타난다. 달빛이 대기와 부딪치면서 산란이 일어나면 실제보다 더 크게 보일 수도 있다.
○ 솔잎의 피톤치드 효과 살려
김이 모락모락 나는 송편을 보면 침이 꿀꺽 넘어간다. 그런데 송편을 찔 때 솔잎을 바닥에 깐다. 먹을 때마다 솔잎을 떼어내려면 여간 귀찮은 것이 아니다. 그런데 송편을 찔 때 솔잎을 넣는 이유는 솔잎 향을 송편에 배게 하는 것뿐 아니라 솔잎이 가진 항균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서다. 식물은 미생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살균물질을 내뿜어 각종 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이를 ‘피톤치드' 효과라고 한다.
임경숙 수원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솔잎에서 짠 즙을 밥에 넣으면 여름철에도 오랫동안 밥이 상하지 않는다”라며 “송편을 찔 때 솔잎을 넣는 것은 영양학적으로 굉장히 현명한 요리법”이라고 말했다.
'☞健康 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 몸을 숙여 건강해진다. 두뇌건강과 집중력강화에 효과 (0) | 2012.04.01 |
---|---|
멸치를 통째로 먹어라 (0) | 2012.03.27 |
피톤치드 [phytoncide] (0) | 2011.05.03 |
걷지 않으면 모든 걸 잃어버린다 (0) | 2011.02.19 |
제철 만난 굴요리 (0) | 201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