映畵 名畵

발퀴레

藝友 2013. 2. 22. 15:36

2013/01/22 15:49

 

복사 http://blog.naver.com/wagnerkorea/20176873262

전용뷰어 보기

<발퀴레>(Die Walku"re)

 

 

 

전사

 

<라인의 황금>, <발퀴레>, <지그프리트> 그리고 <신들의 황혼>으로 이어지는 4부작 <니벨룽의 반지>의 둘째 날 공연이다(정확히는 序夜 <라인의 황금>에 이어지는 첫째 날 공연 ─ 편집자 주). 전편 <라인의 황금>에서는, 라인의 처녀들을 사랑해볼까 시도했던 난쟁이 알베리히가 여자들에게 놀림을 받고는 이에 보복심이 일어 사랑을 저주하면서 그들의 보물인 황금을 빼앗아 달아나고 이것으로 반지를 만들어 세계지배를 꿈꾸는 장면, 신들의 우두머리 보탄이 신들의 거처 발할 성을 지어준 대가로 거인 형제 파프너, 파졸트에게 미와 사랑의 여신 프라이아를 넘겨주기로 약속했으나 이를 지키지 않고, 대신 책략과 불의 신 로게의 조언과 협조로, 니벨룽의 난쟁이 알베리히의 보물과 반지를 빼앗아오는 장면, 반지를 빼앗긴 알베리히가 그 반지에 저주를 내리고 그것을 움켜쥔 거인 형제들에게 이내 반지의 저주가 나타나 동생 파프너가 형 파졸트를 죽이고 반지와 보물을 가지고 사라진 후 신들이 새로 지어진 발할성에 드디어 입성하는 장면이 펼쳐졌다.

 

 

 

<발퀴레>에 들어가기에 앞서 그 전사를 훑어보는 것이 이 악극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가계도를 살펴보자. 

 

 

보탄 - 프리카 : 자식 없음

보탄 - 에르다 : 아홉 발퀴레들 (그 중 첫째가 브륀힐데)

- 에르다 : 운명의 여신 세 노른들

보탄(벨제) - 인간 여인1 : 지그문트, 지글린데 쌍둥이 자매 (벨중 족)

 

훈딩 - 지글린데 (강제결혼)

지그문트 - 지글린데 : 지그프리트

지그프리트 - 브륀힐데

 

알베리히 - 인간 여인2 (그림힐트) : 하겐

- 인간 여인2 (그림힐트) : 군터, 구트루네 (기비히 족)

미메(알베리히의 동생)

 

* 남 - 여 : 자식 (부부관계 또는 연인관계)

- 여 : 자식 (아버지 언급 없음)

 

 

 

<라인의 황금> 4장에서 주변의 신들의 간곡한 권고에도 불구하고 반지를 내놓지 않던 보탄에게 나타나, 그 반지로 인해 곧 신들이 멸망하게 될 것이니 주의하라고 경고하고 땅속으로 사라진 에르다를 기억하리라. 발할 성으로 들어간 보탄은 에르다의 경고의 말이 계속 귀에 거슬려 기어코 에르다를 찾아가 자세한 내막을 캐기에 이르렀다. 계약을 파기한 신들에게 저주가 내려 모든 신들이 멸망할 것임을 알아낸 것이다. 신들의 멸망에 숙연히 준비하는 보탄은 처음부터 깨끗하지 못한 내막을 가지고있는 발할 성을 태울 준비를 한다. 그리고 에르다는 이 이야기를 해준 대가로 보탄과의 사이에 아홉 딸들을 낳게 되었는데 그들이 전사 발퀴레들이다.

 

 

 

이미 엎질러진 물이지만, 수치스러운 신들의 멸망을 어떻게 해서든 막아보려고 보탄은 최후의 몸부림을 친다. 우선 그는 알베리히의 보복을 두려워한다. 언제 알베리히가 부하들을 이끌고 발할 성을 공격할지 모르기에 발할 성을 방어할 수 있는 전사들을 지상으로부터 데려오는 작업을 발퀴레들에게 맡긴다. 발퀴레들은 세계 각지를 날아다니며 전쟁터에서 죽어간 용감한 전사들의 주검을 부지런히 발할 성으로 데려와 다시 영혼을 불어넣어 발할 성 수비대를 만든다. 이 일은 악극 <발퀴레>가 시작될 때쯤이면 거의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보탄에게는 또 하나의 걱정이 있다. 알베리히가 공격해 오는데 대한 방어책은 마련했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반지?이다. 자신의 한때의 만용과 열정으로 억지로 반지를 빼앗아 '반지'를 차지하는 모든 이들은 모두 다시 반지의 노예가 되고 죽음을 맞으리라'는 알베리히의 저주를 받고 이것을 다시 거인 형제에게 준 것인데 그 저주는 곧 효력을 내기 시작했다. 어서 반지를 되찾아 원래의 주인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인의 처녀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그러나 자신은 이미 계약을 파기한 신이요, 반지를 가지고 있는 파프너에게 다가갈 수도 없는 입장이다.

 

 

 

보탄은 몰래 인간 세계로 내려가 인간(벨제)으로 변한 다음 한 여인(여인1)을 취해 쌍둥이 오누이(지그문트와 지글린데)를 낳는다. 이 인간들로 하여금 신들의 내막을 모르게 한 채 인간들만의 힘과 의지로 '반지'를 찾아 라인의 처녀들에게 돌려줌으로써 반지의 저주를 끊겠다는 것이다.또한 보탄은 알베리히도 지상으로 올라와 한 여인(여인2/그림힐트)을 취해 자신의 2세(하겐)으로 하여금 반지를 손에 넣게 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그의 갈 길은 멀기만 하다.

 

보탄의 이 계획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인간은 가장 용감한 자발적인 영웅이다. (이는 어찌 보면 보탄 자신의 완전하고 이상적인 모습) 이러한 보탄의 "독립적인 영웅" 만들기의 과정이 <발퀴레>에서 펼쳐진다. 그러나 일은 쉽게 풀리지 않는데…….

 

<발퀴레> 本劇의 개요

 

서야와 세 밤을 위한 무대축전극 <니벨룽의 반지>의 첫째 날, 1870년 6월 26일 뮌헨 초연.

 

 

 

등장인물: 

인간

지그문트(Siegmund) : 보탄의 아들 (테너)

지글린데(Sieglinde) : 지그문트의 쌍둥이 여동생 (소프라노)

훈딩(Hunding) : 지글린데의 남편 (베이스)

 

보탄 (Wotan) : 하늘나라와 지상세계의 통치자, 신들의 우두머리 (베이스바리톤)

프리카 (Fricka) : 보탄의 아내, 결혼의 여신 (메조소프라노)

발퀴레들 (Walku"ren, Valkyries) : 보탄과 에르다(Erda) 사이의 아홉 딸들

브륀힐데 Bru"nnhilde (소프라노) 헬름뷔게 Helmwige (소프라노)

오어틀린데 Ortlinde (소프라노) 게어힐데 Gerhilde (소프라노)

발트라우테 Waltraute (메조소프라노) 지크루네 Siegrune (메조소프라노)

로스바이쎄 Rossweisse (메조소프라노) 그림게어데 Grimgerde (메조소프라노)

슈베어틀라이테 Schwertleite (콘트랄토)

 

 

 

제 1 막 : 훈딩의 집

 

 

1장

 

 

오페라가 시작하자마자 격렬한 폭풍우가 몰아친다.

 

* 저음현이 사납게 긁힌다. 바그너의 관현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발퀴레> 1막 전주곡을 쉽게 지나칠 수 없을 것이다. <발퀴레> 2막 전주곡도 압권이고 3막 전주곡('발퀴레의 기마')도 인기가 있지만 이후에 1막에서 펼쳐질 격렬하고도 아름다운 드라마를 염두에 둔다면 1막 전주곡의 매력을 거부할 수 없으리라. <황금> 끝장면에서 도너가 무지개 다리를 만들기 위해 외치던 "헤다! 헤다! 헤도!" 선율이 이번에는 오케스트라의 울부짖음으로 들려온다.

 

 

 

밤이다. 음산한 공기와 슬픈 분위기가 집안 가득 퍼져있다. 이곳은 맹장 '훈딩'의 집. 웬 낯선 사내가 배를 움켜쥐며 삐걱하고 문을 열고 들어온다. 추위에 떨고 있는 모습이다. 집안에는 저쪽으로 벽난로가 있고 탁자 몇 개가 고작인데 사람의 몸집보다도 더 큰 나무 한 그루가 집안 한가운데(무대 한가운데) 우뚝 서 있는 것이 이상하다. 지친 몸을 황급히 벽난로 쪽으로 옮기는 이 사내는 이내 난로 앞에서 몸을 가누지 못하고 쓰러진다. 음악은 이제 잦아들고 이 사내는 난데없이 사경을 헤매면서 절망의 대사를 토해낸다. 극 전체를 미리 압도하는 놀라운 <발퀴레>의 첫 대사이다.

 

 

 

Wes Herd dies auch sei, hier muss ich rasten,

베쓰 헤어트 디즈 아우흐 자이, 히어 무쓰 이히 라스텐.

(여기가 누구의 집 난로인지 몰라도, 여기서 쉴 수 밖에 없어.)

 

 

 

여인이 들어온다. 쓰러진 사내를 보고 놀라며 다가간다. 낯선 남자(Ein fremder Mann? 아인 프렘더 만!)이지만 실신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지친 남자는 무의식적으로 외친다.

 

 

Ein Quell! Ein Quell! 아인 크벨! 아인 크벨! (샘[물]! 샘[물]!)

 

"떠다 드릴께요." 재빨리 물을 떠다 주는 여인. 물을 받아 마시고 정신을 차린 사내가 바가지를 돌려주면서 여인의 얼굴을 보는 순간, 사랑의 동기는 흐르고 둘은 무엇인가를 느낀다. 돌연 정신을 가다듬어 사내는 고맙다고 하며 여인의 이름을 묻는다. 여인은 자신의 이름을 이야기하는 대신 자신이 남편의 소유물임을 힘없이 더듬거린다.

 

 

 

- 이 집과 이 여인은 훈딩의 소유예요.

(Dies Haus und dies Weib sind Hundings Eigen; 디스 하우스 운트 디스 바이프 진트 훈딩스 아이겐) 기다리시면 그가 돌아옵니다.

- 저는 무기도 없는데, 주인장께서는 상처 입은 손님을 내쫓지는 않겠지요.

 

상처라는 말에 질겁하며 놀라는 여인. 현이 여인의 놀라는 마음을 읽으며 격렬하게 굽이친다. "상처라니요, 어디 보아요!" "별것 아니오. 이제 나아 간다오. 이제 피로가 사라졌소. 태양이 이제 내게 다시 미소짓고 있군요." (…die Sonne lacht mir nun neu 디 존네 라흐트 미어 눈 노이) 여인은 이유 모를 연민을 느끼면서 낯선 남자에게 계속 호의를 베풀고자 한다. "벌꿀로 빚은 음료를 거부하진 않으시겠지요?" 여인의 이유를 알 수 없는 호의에 반신반의하는 남자는 여인에게 먼저 마셔볼 것을 조심스럽게 요청한다. (Schmecktest du mir ihn zu? 슈메테스트 두 미어 인 쭈 ) 여인에 이어 남자도 꿀물을 마시는 동안 음악은 계속 야릇한 분위를 조성하는 듯 하지만, 곧 난데없는 남자의 한 마디에 음산함으로 되돌아온다.

 

 

 

Einen Unseligen labtest du 아이엔 운젤리겐 랍테스트 두

(당신은 불행한 사람을 도와준 거요)

재앙이 당신을 피해가기를 바랍니다. 잘 쉬었으니 저는 갈 길을 가야겠습니다.

- 누가 당신을 쫓고 있길래 이리 서두르시나요?

- 불행이 내가 가는 곳마다 나를 따라다니고, 불행이 내가 머무는 곳마다 다가오니, 부인, 그 놈이 당신은 제발 피해가기를 바랍니다. 자, 이제 저는 다른 곳으로 가봐야겠습니다.

 

 

사내가 말을 끝내고 일어서려고 하자 여인은 황급히 사내의 앞길을 막으며 서럽게 외친다.

 

 

So bleibe hier! 조 블라이베 히어!

(그렇다면 여기 머무세요)

이미 불행이 들어앉아 있는 이 집에

당신이 가져올 불행이란게 무엇이 있단 말인가요.

 

 

 

폐를 끼치기 싫어 떠나겠다는 '불행을 몰고 다니는 사내'를 애써 막는 여인으로부터 수상한 낌새를 눈치 챈 남자는 자신의 존재를 희미하게 드러내면서 가려던 계획을 잠시 중단한다.

 

 

"나는 붸발트(Wehwalt, 고뇌)라고 하오, / 훈딩을 기다리리다."

 

 

2장

 

 

바로 이때 문이 열리고 금관이 울린다. 냉혹하면서도 리듬감 넘치는 훈딩의 동기다. 낯선 사내와 함께 있는 아내를 매섭게 노려보자 아내는 지레 겁을 먹고는,

 

 

- Mu"d am Herd fand ich den Mann. 뮈드 암 헤어트 판트 이히 덴 만

(지친 몸으로 난로 가에 쓰러져 있는 이 분을 발견했어요.) 피곤해서 여기까지 오게 되었나 봐요.

 

 

아내의 말에 믿는 둥 마는 둥 대꾸를 하자 사내가 오히려 친절을 베푼 부인을 꾸짖지 말라고 참견한다. 이 말에 훈딩은 단호하게 대처하면서 사내를 윽박지르듯 노려본다."?내 집은 신성한 곳이니, 당신도 그렇게 행동해주시오." 다시 두 사람을 노려보는 훈딩. (방백 : "아니, 이 녀석이 아내와 왜 이리 닮았지…") 어디서 왔는지 본인 이야기를 해달라는 훈딩의 명령 반 부탁 반의 물음 그리고 궁금해 하는 여인의 간청에 사내는 드디어 조금씩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전투장면을 상기시키는 듯한 영웅적인 오케스트라 반주에 진행되는 이 대목은 이후 몇 차례 단절되었다가 다시 계속되면서 점층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대목의 처음 부분으로, 대사와 음악이 절묘하게 결합되어 있다. 사내는 이름도 없고 고향도 없고 부모도 없는 고아다. 다만 '붸발트'(고뇌)라고 불리어 왔으며 자신을 벨중의 자손이라고 한다.

 

 

Friedmund darf ich nicht heissen; 프리트문트 다프 이히 니히트 하이센

Frohwalt mocht ich wohl sein: 프로발트 뫼히트 이히 볼 자인

doch Wehwalt musst ich mich nennen. 도흐 베발트 무스 이히 미히 넨넨

나는 '평화'라고 불릴 수 없소;

나는 '기쁨'이라고 불리고 싶지만

'고뇌'라고밖에는 할 수 없다오.

 

 

아버지는 볼페(늑대)라고 불렸고 쌍둥이 남매(eine Zwillingschwester und ich 아이네 쯔빌링슈베스터 운트 이히)를 낳았는데 어느날 아버지와 사냥을 나갔다가 돌아와보니 집이 불타버렸고 어머니는 무참히 죽어있었으며 동생은 사라졌다는 것이다. 이들 부자는 숲속을 전전하며 적들과 싸움을 계속했고 이때부터 사람들은 자신을 '뵐핑'(늑대새끼)라고 불렀다. 듣고 있던 훈딩은 사내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있다는 신호를 하지만("이상한 이야기도 다 있군.") 여인은 사내의 이야기에 대한 궁금증을 계속 불사른다. ("손님, 말씀해 주세요, 당신의 아버지는 지금 어디 계시나요?") 사내의 이야기는 오케스트라와 함께 격렬해지고 분위기는 더욱 참담해진다.

 

 

- 그러다가 숲속 어딘가에서 아버지를 잃어버렸지요.

가는 곳마다 푸대접에 피와 불행이 끊이지 않았소.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이 / 남에게는 악한 일이 되었고

내게는 끔찍한 일이 / 남에게는 기쁜 일이었소.

 

 

훈딩은 사내의 불행을 운명의 여신의 딸 노른의 탓으로 돌리며 자신도 이런 남자를 환영할 뜻이 없음을 은근히 내비친다. 이 말을 들은 여인은 야속한 듯 훈딩에 맞서지만 소용없다. 사내의 이야기는 계속되며 이제 음악은 피투성이의 전쟁터를 암시하는 듯한 과격으로 치닫는다. 사내는 어쩌다가 어떤 여인이 집안의 강요로 원치도 않는 남자와 강제로 결혼하는 광경을 목격했다. 그는 갑자기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이 여인을 구해주어야겠다 싶어 칼을 휘둘렀다는 것이다. 정신을 차려보니 그 여인의 오빠를 죽였더라는 것이다. 음악은 여기서 핏빛으로 온몸을 조여온다. 처녀의 친척들이 몰려와 사내를 뒤쫓기 시작했고 그는 상처를 입고 달아났다… 그 처녀도 결국 죽고 말았다. 소위 벨중족의 고통과 슬픔을 나타내는 동기를 위시해서 슬픔으로 얼룩진 음악이 장중하게 실려나온다.

 

 

"이제 알겠소, 궁금해하는 부인?

왜 내가 '평화(Friedmund, 프리트문트)'라고 불리지 못하는지를."

 

이 말을 듣던 훈딩이 뭔가 집히는 데가 있다는 듯이 냉혹하게 내뱉는다. "나도 그런 잔인한 녀석을 알고 있지!" (Ich weiss ein wildes Geschlecht 이히 바이스 아인 빌데스 게슐레히트) 이어 그는 탁자를 갑자기 내려치면서 엄청난 분노를 터뜨린다. 현이 격렬하게 요동친다. "우리 집안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달아난 놈이야. 내가 바로 그 현장에 복수를 해달라고 불려갔는데 놈은 이미 달아나고 없더군.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더니 그 자가 제 발로 내 집에 와서 상처를 치료받고 있을 줄이야. 네놈을 단칼에 베어야 마땅하나 무사가 그럴 수는 없는 법. 오늘은 내 집에 들어온 객이니 쉬고, 내일아침 무기를 준비하고 나와 결투를 통해 정의의 심판을 받도록 하여라." 남편과 사내의 악연에 당황해 하는 지글린데에게 훈딩은 어서 잠자리를 마련하라고 거칠게 퍼붓고는 이어 사내에게도 결투에 대비할 것을 엄중히 경고한다. "무사란 무기가 필요한 법, 아침까지 무기나 마련하도록 해! 내 말 잘 알아 들었느냐, 각오해 두어라!" (…mein Wort ho"rtest du, hu"te dich wohl! 마인 보트 회테스트 두, 휘테 디히 볼! )

 

 

* 훈딩의 이 1막 2장의 마지막 노래는 그의 성격 전체를 잘 드러내주기도 하면서 사나운 분노가 최고조에 달한 맹장의 감정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늘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훈딩을 물불을 가리지 않고 복수에 목말라 하는 거친 야수로 표현하는 인물로 노래하는 가수는 위의 마지막 대사(hu"te dich wohl!)를 눈을 부릅뜨고 거칠게 토해내고, 복수를 선언하였지만 좀더 냉혹하게 사태를 주시하면서 분노를 내면적으로 폭발시키는 인물로 노래하는 가수는 상대방을 노려보면서 냉소적으로 내뱉듯 던지는 형태로 부른다.

 

3장

 

 

상처도 입고 피로한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결투까지 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사내는 앞이 캄캄해 진다. 절망에 빠진 사내는 위기에 빠진 자신의 절박한 심정을 토로한다. 칼의 동기가 흘러나오면서 더불어 무대 위의 나무에 깊숙이 박혀있는 칼끝에서 불빛이 새어 나오도록(또는 빛나도록) 극을 처리하는 멋진 대목이다. 우리는 이로써 이 사내가 결국은 그 칼을 뽑게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하게 된다.

 

"Ein Schwert verhiess mir der Vater / ich fand' es in ho"chster not"

아인 슈베어트 페어히스 미어 데어 파터 / 이히 판트 에스 인 획스터 노트

"아버지께서 약속하신 칼… 위기에 처하면 발견하게 될 거라고 하셨는데…"

Wa"────lse! Wa"────lse! Wo ist dein Schwert?

벨제 벨제 보 이스트 다인 슈베어트?

벨제여! 벨제여! 당신의 칼은 도대체 어디 있습니까?

불쌍한 여인이 있고 저는 내일 결투를 해야 합니다. 저를 구해주소서!

 

 

 

이때 훈딩을 따라 방으로 들어갔던 여인이 다시 나온다. "주무시나요, 손님?"(Schla"fst du, Gast? 슐래프스트 두 가스트!) 폭력적인 남편 훈딩을 수면제를 먹여 잠재우고 왔다는 그녀는 밤을 틈타 도망가라고 충고하지만 사내는 듣지 않는다. 이미 여인과 운명을 같이 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사내의 이 말에 여인은 용기를 내어 사내를 위한 무기를 보여주겠다고 하면서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한다.

 

* 소프라노 아리아 : '지글린데의 이야기'

Der Ma"nner Sippe sass hier im Saal, / von Hunding zur Hochzeit geladen.

데어 맨너르 지페 자스 히어 임 잘 / 폰 훈딩 쭈어 호흐차이트 게라덴

(이곳에 그의 친척들이 모였지요, 훈딩의 결혼식날에 초대되어서…)

그는 강도질해 데려온 여인과 그녀의 의사도 묻지 않고 결혼한 거예요

저는 울음을 참으려 애썼지만 너무 서러웠어요

회색옷을 입은 어떤 노인(ein Greis in blauem Gewand 아인 그라이스 인 블라우엠 게반)이 들어오자

마을 사람들이 그에게 주목했어요..

모자를 깊이 눌러 써서 한쪽 눈이 보이지 않았지만

깊고 그윽한 눈빛에서는 광채가 빛나고 있었지요

모두들 그의 눈빛을 보고 두려워했지만 저는 위안이 되었어요

그는 내 눈을 한번 보고는(Auf mich blick' er 아우프 미히 블리크 에어) 저 나무 앞으로 다가가

옆에 차고 있던 칼(das Schwert 다스 슈베어트)을 그 나무에 꽂았어요.

그리고는 조용히 사라졌어요

누구든 그 칼을 뽑는 자가 임자라는 뜻이었지요.

많은 사람들이 왔다 갔어요(Ga"ste kamen und Ga"ste gingen 개스테 캐멘 운트 개스테 깅엔)

결국은 뽑지 못하고 돌아갔어요. 꿈쩍도 않는(keinen Zoll 카이넨 쫄) 거예요

그런데 이제 그 노인이 누구인지 알겠어요.

제가 오늘 그 칼의 주인을 만난 거예요

저의 남편이 될 수 있는 친구를(den Freund 덴 프로인트)

저의 불행과 슬픔을 단번에 보상해 줄 수 있는 영웅

얼마나 기다렸는지 아세요.

그를 영웅으로 맞아 감싸 안으리, 나의 팔로!

(umfing' den Helden mein Arm! 움핑 덴 헬덴 마인 아름)

 

<발퀴레> 1막을 찬란하게 빛내는 유명한 아리아다. 서러운 결혼식 이야기로 시작하여, 미지의 노인이 칼을 꽂고 가는 상황, 수많은 사람들이 뽑으려 했으나 실패했던 그 칼의 주인공이 바로 눈앞의 당신이 아닐까 하며 여인이 격정에 사로잡히면 음악은 여인의 감정의 굴곡에 절묘하게 호응하면서 어느새 절정으로 치닫게 된다. 이 말을 들은 사내 역시 격분하고 음악도 이미 절정으로 치닫기 시작한다.

 

"Dich, selige Frau, halt nun der Freund"

디히, 젤리게 프라우, 할트 눈 데어 프로인트

"오 빛의 여인이여. 그 친구가 지금 당신을 안고 있소."

 

격정적인 사랑의 2중창이 그 절정에 다다르려는 무렵 갑자기 뒷문이 활짝 열린다. 순간 남편 몰래 서러우면서도 환희에 찬 사랑을 나누던 여인이 놀라며 움츠린다.

 

"누구세요? 누가 나가고 또 들어왔나요?"

 

"나간 사람은 없어요. 누군가 들어오긴 했지만요. / 보세요, 바로 봄이 여기 미소짓고 있어요."

Keiner ging, doch einer kam: 카이너 깅, 도흐 아이너 캄

siehe, der Lenz lacht in den Saal! 지에, 데어 렌츠 라흐트 인 덴 잘

 

이어지는 대목이 바로 매혹적인 테너 아리아 ?겨울 폭풍우가 오월의 달빛에 쫓겨 사라지고?이다.

 

Winterstu"rme wichen dem Wonnemond, / in mildem Lichte leuchtet der Lenz

빈터슈티어메 비헨 뎀 본네몬트 / 인 밀뎀 리히테 로이히테트 데어 렌츠

("겨울 폭풍우가 오월의 달빛에 쫓겨 사라지고 / 봄이 사랑의 빛으로 빛나고 있소…")

 

* 유명한 사랑의 2중창 치고 음악적으로나 문학적으로 완벽하지 않은 것이 어디 있으랴마는 이 곡은 가사와 음악이 너무나 아름답게 결합되어 있다. 특히 독일 오페라 특유의 자연에 대한 찬양이 두 연인의 사랑에 절묘하게 비유되어 유려한 선율로 이어지는데, 즉 봄(der Lenz, 남성형)이 겨울 폭풍우로 고생하던 사랑(die Liebe, 여성형)이라는 여동생에게 찾아와 그녀를 겨울로부터 구출해 낸다는 대목은, 바로 지그문트 자신이 고난의 세월(겨울 폭풍우)을 보낸 지글린데에게 찾아와 그녀를 해방시키고 둘은 하나가 된다는 이야기이다.

 

* 여기서 독일어 Wonnemond는 Wonne(기쁨)+mond(달) 해서 달빛이라는 뜻이 아니라, ‘기쁨의 달, 5월’(Mai, May)을 뜻한다고 한다. 독문학에서 Wonnemond는 오월의 별칭인 것으로 사용된다는 것. 돌이켜 보건데, 겨울이 대개 4월 말까지 이어지는 독일에서 오월이 봄의 상징으로 통용되는 것은 3월을 봄의 상징으로 바라보는 우리들이 미처 간파하지 못한 점이다.

 

 

 

간절하고 아름다운 남자의 사랑고백을 이제 여자가 받는다. "당신이 바로 봄이로군요, 제가 간절히 기다리던." (Du bist der Lenz, nach dem ich verlangte 두 비스트 데어 렌츠, 나흐 뎀 이히 페어랑크테) 이제 두 사람의 격정은 잠시 평온을 되찾고 온화한 음악에 맞추어 서로의 기억을 더듬으며 사랑을 나눈다. (남자 : O su"sseste Wonne! Seligstes Weib!,

오 쉬세스테 본네! 젤릭스테스 바이프! / 오 달콤한 기쁨이여, 축복받은 여인이여!) 여인은 사내의 얼굴을 찬찬히 더듬더니 어렸을 때 물위에서 보았던 자신의 얼굴이 기억난다고 말한다. (Du bist das Bild, das ich in mir barg. 두 비스트 다스 빌트, 다스 이히 인 미어 바르크 / 당신은 제가 가슴속에 숨겨두었던 바로 그 모습이에요) 이제 그녀는 남자의 목소리도 기억해 낸다. 아니, 최근에도 그의 목소리를 들었다는 것이다. (Doch nein! Ich ho"rte sie neulich! 도흐 나인! 이히 회르테 지 노일리히!) 여인은 사내의 이름이 과연 붸발트인지, 아버지는 볼페인지를 궁금해 한다. 사내는 여인이 정해주는 이름을 기꺼히 택하겠다고 한다.

 

"벨제가 아버지라면 당신은 벨중족. 그가 당신을 위해 칼을 꽂아 둔거예요.

 

이제 당신을 내가 사랑하는 이름으로 부를게요. Siegmund: so nenn ich dich!

지그문트: 조 넨 이히 디히!

(당신을 지그문트, '승리자'라 부르겠습니다!)"

 

이에 지그문트가 환희에 차서 답한다.

 

Siegmund heiss ich und Siegmund bin ich.

지그문트 하이스 이히 운트 지그문트 빈 이히

(지그문트라 불린다면 나는 지그문트인 것입니다.)

 

 

*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아마 눈치를 챘을 것이다. 이미 우리는 이 남자가 지그문트요 여인은 지글린데라는 것을 사전 지식으로서 알고 있지만, <발퀴레> 1막의 극의 전개 구도 속에서는 바로 이 대목에 와서야 남자의 이름이 밝혀지며(정확히 말하면 명명된다), 바로 다음에 여인의 이름이 지글린데라는 것이 밝혀진다. 그러므로 1막 시작부터 계속되는 남자의 자기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 극이 계속 진행되면서 고조되고 이 대목에서 극적으로 폭발하게 된다. 지그문트가 앞서 번뇌하며 토로하던 '프리트문트라 불리울 수 없고, 프로발트라 불리우고 싶지만, 나는 붸발트라 불리울 수밖에 없다'는 구절이 이 부분에서 극적 승화에 이르게 된다. 사실 주인공의 이름이 시종일관 숨겨져 있다가 그것이 마침내 드러남으로써 극적 반전이나 절정에 다다르는 구도는 바그너의 다른 작품들에서도 심심치않게 나타난다. 예 : <로엔그린>, <파르지팔>)

 

 

이제 지그문트는 재빨리 문제의 나무로 다가가 칼집을 움켜 잡고는 격렬하게 부르짖는다.

 

Heiligster Minne ho"chster Not / sehnender Liebe sehrende Not

하일리스터 민네 획스터 노트 / 젠엔더 리베 제렌데 노트

(가장 고결한 사랑의 가장 깊은 고뇌 / 갈망하는 사랑의 타는 듯한 욕망)

Notung! Notung! so nenn ich dich / … heraus aus der Scheide zu mir!

노퉁! 노퉁! 조 넨 이히 디히 / 헤라우스 아우스 데어 샤이데 쭈 미어

(노-퉁!,노-퉁! 그것이 너의 이름이리니, / …이제 칼집에서 나에게로 나오라!)

 

 

지그문트가 온 힘을 다해 칼을 뽑는데 성공하자 감격에 겨운 여인이 환희의 비명을 지른다. 한편 음악은 지글린데의 이야기 이후에 사실상 한 번도 잦아든 적이 없이 여기까지 격정을 불사르고 있다. 그는 칼을 여인에게 결혼선물로 바침으로써 여인과의 영원한 사랑을 맹세한다. (나의 칼 노퉁이 그대를 지킬 것이오.) 여인이 마지막으로 자신의 이름을 이야기한다. (내가 보고 있는 당신은 지그문트, 나는 당신을 갈망해 온 지글린데. 당신은 누이와 칼을 동시에 얻었어요.)

 

 

지그문트 : Braut und Schwester bist dem Bruder, / so blu"he denn Wa"lsungen-Blut!

브라우트 운트 슈베스터 비스트 뎀 브루더 / 조 블뤼헤 덴 벨중엔-블루트

(당신은 오빠에게 아내와 누이가 되니, / 이제 벨중의 자손이여 번성하라!)

 

 

둘은 합일된다. 음악은 환희와 격정에 휩싸여 마지막으로 클라이막스에 올랐다가 격렬하게 종지부를 찍는다. 쾅!

 

제 2 막 : [브륀힐데의] 바위산

 

1장

 

찬란한 관현악이 울려퍼지면서 2막이 열리면 보탄이 나타난다. (Nun za"ume dein Ross, reisige Maid!, 눈 초이메 다인 로스, 라이지게 마이트 / 자 말에 고삐를 채워라, 여전사여) 곧이어 발퀴레의 동기(발퀴레의 기마 동기)와 함께 브륀힐데가 나타난다. 1막의 이튿날 아침이다. 보탄은 아끼는 딸 브륀힐데에게 앞으로 있게 될 지그문트와 훈딩의 결투에서 지그문트를 보호하라고 이르고 브륀힐데는 아버지의 진지한 명령에 특유의 구호로써 답한다. (Hojotoho! Hojotoho!, 호요토호! 호요토호!) 보탄은 딸을 잠시 돌려 보내고 곧바로 프리카를 맞는데 <황금> 2장에서도 이미 보았듯이 둘 사이는 항상 언쟁의 연속이었다. 여기서도 그녀를 맞는 보탄의 첫 대사를 보니 예외는 아니다. (Der alte Sturm, die alte Mu"h'!, 데어 알테 슈투엄, 디 알테 뮐! 지겨운 폭풍, 지겨운 문제) 프리카는 결혼의 여신으로 지그문트와 지글린데 사이의 불륜을 가만히 보고 있을 수 없다. 훈딩도 그녀에게 그들을 벌할 것을 간청해 온 터다. 보탄은 처음에는 모른 척 넘기려 한다. 두 남녀의 사랑인데 神인들 어찌 할 수 있냐는 거다. 이에 프리카는 벨중의 탄생을 들먹이며 격렬하게 항의한다. (So ist es denn aus mit den ewigen Go"ttern, 조 이스트 에스 덴 아우스 미트 덴 에비겐 괴턴 / 그렇다면 그것이 영원한 신들의 종말인가요?) 그런 정신 자세로 생활하니 온통 이 난장판이라는 거다. 비밀을 캐낸답시고 지혜의 여신 에르다를 쫓아가더니 덜컥 발퀴레 아홉을 낳고 말았지 않느냐고 윽박지른다. 보탄은 그제서야 자신이 흰 옷을 입고 훈딩의 결혼식날 보검을 나무에 꽂아 두었던 사실을 언급한다.

 

 

 

- "당신, 그렇게 말해도 모르겠소? 신들은 이미 멸망할 수 밖에 없는 운명, 이를 구제하려면 누군가 '신들로부터 자유로운, 신들의 저간의 사정을 전혀 모르고도 자신의 힘으로 반지를 손에 넣을 수 있는 영웅'이 필요하단 말이오."

- "당신 말 한번 잘 했군요. 그래 그 지그문트란 놈이 당신이 진정 바라던 영웅이란 말인가요?"

- "그럼 그렇지 않고."

- "그럼 그 보검은 그럼 워예요. 당신이 만들어서 일부러 그 놈의 손에 쥐어준 것 아닌가요?"

- "그 칼(다스 슈베어트 das Schwert) 말이오?"

- "맞아요, 그 칼!"

- "그 칼은 지그문트가 역경(Not)속에서 얻은 것이오. (노퉁 Notung)"

- "그 역경은 당신이 일부러 꾸며놓은 것이잖아요. 그래 놓고 무슨 신들로부터 자유로운 영웅이란 말예요. 그 칼을 치우세요." 당황하는 보탄. "그럼 내가 어떻게 하란 말이오?"

- "벨중에게서 손을 떼세요."

- "……."

- "브륀힐데, 그 발퀴레도 엉뚱한 짓 못하게 해야 돼요."

- "그애는 나도 어쩔 수 없소."

- "하라는 대로 하라니까요!"

- "……알겠소.…"

 

2장

 

유유히 사라지는 프리카, 고뇌의 동기가 들리면서 극도의 절망에 사로잡히는 보탄. 사정도 모르고 브륀힐데는 다시 한번 발퀴레의 울음을 토해내며 아버지에게 다가온다. (Heiaha! Heiaha! Hojotoho 하이야하! 하이야하! 호요토호) 하지만 그녀는 이내 아버지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고 순간 걱정이 밀려와 그를 위로해야겠다는 마음뿐이다. (Schlimm, fu"rcht ich, schloss der Streit, 슐림, 퓌르트 이히 슐로스 데어 슈트라이트 / 언쟁의 결과가 나빴나 보군요)

 

 

 

- 아버지 보탄이시여. 어떻게 된 거예요, 프리카와 이야기가 좋지 않았나요?"

- "내가 놓은 덫에 내가 걸려든 셈이로구나. 아, 이 수치스러운 신의 신세여. 나보다 더 괴로운 이가 있을까…"

- "아버지, 그것이 무슨…?"

- "내 말을 잘 들어라, 아가아."

 

 

 

여기서부터가 상당히 긴 보탄의 사설인데 음악적으로는 다소 지루하다고 느껴질 수도 있으나 그 내용은 사실상 '사랑과 권력간의 양자 택일'이라는 <반지> 전체의 주제와 밀접히 연계되어 있는 중차대한 대목이다. 이 사설을 통해 우리는 <황금> 이전, 그리고 <황금>과 <발퀴레> 사이에 보탄 주변에 있었던 사건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된다. "내가 젊은 사랑의 기쁨이 쇠잔했을 때 나의 영혼은 권력을 갈망했단다. (Als junger Liebe Lust mir verblich, verlangte nach Macht mein Mut. 알스 융어 리베 루스트 미어 페어블리히, 페어랑크테 나흐 마흐트 마인 무트) 그래서 악의 힘과도 관계를 맺고 말았단다. 그것이 잘못이었어. 로게는 처음에는 나에게 조언을 해줄 것처럼 하더니 이제는 사라져버렸고… 사악한 난쟁이 알베리히는 나에게서 반지를 빼앗기고 그 반지에 저주를 퍼부었단다. 아… 반지를 빼앗았을 때 라인의 처녀들에게 돌려주었어야 하는 것이었는데…"

 

 

 

보탄은 반지의 저주를 경고한 에르다를 찾아가 신들의 멸망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를 듣고는 그 대가로 발퀴레 아홉 자매를 낳았다. 저주에 사로잡힌 알베리히가 발할 성을 다시 공격하지 않을까 두려워 발퀴레로 하여금 세상을 돌아다니며 용감한 영웅의 주검을 실어 날라 발할 성 주위를 지키도록 한 것이다.

 

 

 

- "저희들은 충분히 영웅들을 데려오지 않았나요?"

- "그랬지…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단다. 다른 걱정이 있단 말이다. 내가 빼앗긴 반지를 되찾아 신들의 멸망을 막을 영웅을 만들어내기 위해 지상으로 내려와 지글린데와 지그문트 쌍둥이를 낳는 동안 알베리히는 또 다른 여인을 취해 자신의 과업을 완수할 2세를 준비하였지. 문제는 내가 만든 영웅이 결코 내가 바라던 대로 되어주지 않더라는 거야. 어떻게 하면 내가 바라는 그 일을 영웅이 스스로 하게 할 수 있을까. 내가 만들었으면서 나에게서 자유로울 수 있다고 생각한 내가 바보였어. 어떻게 그렇게 될 수 있단 말이냐. 자유로운 인간이 태어나길 바라지만 헛된 일이야."

 

- "그럼 벨중의 자손 지그문트는 스스로 행동하지 않나요?"

- "스스로 행동하기는 하지. 다만 내가 만들어준 칼을 갖고 있어야만 그는 영웅인 거야… 프리카가 그것을 지적하더구나. 아 이 몹쓸 신의 운명이여…"

 

 

 

절망의 구렁텅이에서 이제 보탄이 바라는 것은 오직 하나, 신들의 종말이다! 그리고 알베리히는 바로 그 종말을 위해 작업을 진행시키고 있다. (…das Ende! Und fu"r das Ende sorgt Alberich,) 보탄은 브륀힐데에게 지그문트를 보호하라던 조금 전의 명령을 바꾼다.

 

 

 

- "프리카를 위해 싸워라! 그 길밖에는 없어. 일은 섭리대로 되어야 한다."

- "아버지는 벨중을 그토록 사랑하셨는데 그렇게 결정을 바꾸시니 이 웬일입니까?"

- "뭐라고? 내 명을 어길 셈이냐? 다시 한번 말하겠는데 지그문트는 죽는다. 그것이 발퀴레의 임무다."

 

이때까지만 해도 브륀힐데는 의아해하기는 하면서도 아버지의 심경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So sah ich Siegvater nie, 저렇게 아버지가 흥분하신 모습을 본 적이 없어) 그녀는 신의 의지에 따라 곧 죽게 될 벨중 지그문트를 가엾게 여긴다.

 

3장

 

장면이 바뀌어 아침일찍 훈딩의 집에서 빠져나온 지글린데와 지그문트가 격렬하지만 한이 서린 듯한 음악과 함께 발걸음을 재촉한다. 너무나 지친 나머지 자신의 빠른 발걸음을 따라오지 못하는 지글린데를 보고 그는 쉬자고 하지만(Raste nun hier; gonne dir Ruh!, 여기에서 멈추고 쉬자) 훈딩과의 결투를 두려워하는 지글린데는 계속 도망치기를 애원한다. 지글린데는 거의 탈진상태이다.

 

"차라리 저를 버리고 가세요. 저 한 목숨 여기서 사라져버려도 좋으나 지그문트 당신은 살아서 훈딩의 사나운 입김이 없는 저 먼 곳으로 가셔야 해요. 모든 일이 다 저 때문에 일어난 일이에요… 이 불행한 여인의 탓으로…" (Hinweg! Hinweg! Flieh die Entweihte!, 비키세요, 비키세요, 더럽혀진 이에게서 떠나세요!) 지글린데는 결국 정신을 잃고 쓰러진다. 체념해 있는 지그문트 앞에 브륀힐데가 나타난다. 곧 죽을 운명이라는 암시다. 운명의 동기가 뒤로 흐르면서 조금 전까지도 격렬했던 음악은 이제 죽음의 그림자를 노래한다.

 

4장

 

- "Siegmund! Sieh auf mich!" (지그문트여! 나를 보라!)

영웅이여. 그대의 주검을 가지러 내가 왔도다.

너는 영웅들만이 들어갈 수 있는 발할성에 가도록 되어있다.

- "무슨 말입니까, 내가 죽는다니…"

- "너는 그렇게 운명지워져 있을 뿐이다…"

 

그러자 지친 지그문트가 묻는다.

 

- "그럼 이 여인도 나와 함께 저 좋은 나라에 가게 됩니까?"

- "그 여인은 몸 속에 소중한 아이를 품고 있다. 아직은 이 세상의 공기를 숨쉬어야 할 몸."

 

지글린데가 함께 가지 않는다는 말에 지그문트는 결심이 선 듯 브륀힐데에게 당당히 선언한다.

 

 

 

- So gru"sse mir Walhall, gru"sse mir Wotan

(그렇다면 발할에, 보탄에게 전해주시오)

이 여인과 함께 하지 않는다면 나는 아무리 훌륭한 발할이라도 가지 않을 것입니다.

- "그대는 이미 발퀴레의 눈빛을 보았다. 그런 자는 반드시 저 먼 세상으로 가야 한다. 너는 곧 죽임을 당할 것이다."

- "나에게는 이 보검이 있습니다. 당신의 협박을 이 칼로 물리치겠소!"

- 이 여인이 그대의 전부인가? 그대는 다른 영광된 것을 모르는가?

 

 

 

지그문트는 브륀힐데의 냉정함에 야속함을 드러내지만(So jung und schon erschimmerst du mir, 당신은 젊고 고결하며 반짝이지만) 그의 마음은 확고부동하다. "지글린데가 함께 가지 않는다면 나는 어디도 갈 수 없소!" 이 말을 들은 브륀힐데가 순간 어조를 바꾼다. 심경을 굳힌 단호한 눈빛이다.

 

 

 

"그대의 가슴을 찢는 괴로움, 이제 알겠다. 지그문트, 그대의 아내를 나에게 맡겨라. 내 그대를 보호하리라!"

 

 

 

* 브륀힐데가 지그문트의 사랑을 보고 결심을 바꾸게 되는 것은 사실 <반지>에서 대단히 중대한 고비를 말해준다. 즉 권력과 법칙, 원리의 영역이던 신으로서의 브륀힐데가 결국 사랑과 자유의 영역인 인간으로 존재변신을 하는 순간이다.

 

5장

 

지글린데가 혼수상태에서 어린 시절 아버지의 기억을 떠올린다. (Kehrte der Vater nur heim!, 아버지가 집으로 오셨으면!) 폭풍우가 다시 치고 훈딩이 나타난다. 둘은 이제 험준한 숲속에서 무기를 들고 마주보며 서있다. 지글린데가 깨어났을 때 이미 둘 사이의 으름장은 시작되었다. (Wehwalt! Wehwalt! Steh mir zum Streit. 붸발트! 붸발트! 일어서서 나와 싸워라!) 마치 당장이라도 상대를 쓰러뜨릴 태세다. 미친 듯이 부르짖는 지글린데.

 

 

 

"아아 두 사람, 멈추세요. 차라리 나를 먼저 죽이세요…"

 

 

 

훈딩이 지그문트를 향해 그의 창을 내리꽂으려 하고 지그문트는 그의 노퉁으로 이를 막으려 한다. 이때 갑자기 나타난 브륀힐데가 훈딩의 창을 향해 마법을 걸려는 순간, 저편에서 돌연 보탄이 나타난다. 보탄의 눈빛 한번에 지그문트의 칼은 두동강이 나버린다. 훈딩의 창이 지그문트의 몸을 파고든다. 지그문트, 쓰러진다. 당황한 브륀힐데는 엉겁결에 두 동강난 칼을 싸들고 지글린데를 말에 태워 달아난다. 보탄이 괴롭다는 듯 훈딩을 향해 소리친다.

 

 

 

"Geh hin, Knecht! Knie vor Fricka:"

"사라져라 노예녀석아, 프리카 앞에 무릎꿇거라:"

 

 

 

순식간에 쓰러지는 훈딩. 보탄은 분노에 치를 떨면서 브륀힐데와 지글린데가 달아난 쪽을 향한다.

 

 

 

"브륀힐데, 너는 너의 벌을 받으리라!"

 

 

 

사건이 오히려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듯 관현악이 냉혹하게 매듭을 짓는다. 쾅!

 

 

 

제 3 막 : [브륀힐데의] 바위산

 

1장

 

험준한 바위산이다. (<반지>의 전체 음악 중에서 가장 유명하면서도 가장 피상적으로 감상 되고 있는) '발퀴레의 기행'(Walku"renritt, The Ride of the Valkyries)이 흐르는 가운데 여덟 발퀴레들이 모여 부지런히 영웅들의 주검을 실어 나른다.

 

 

 

"호요토호! 호요토호! 하야하, 하야하!"

 

 

 

여덟 발퀴레 자매는 질겁한 브륀힐데가 웬 여인을 데려오는 것을 본다.

 

 

 

- "나를 방어해 줘, 위기에 처한 나를 도와 줘(Schu"tzt mich und helft in ho"chster Not), 자매들아, 아버지 보탄에게 쫓기고 있어. 나는 그분의 명을 어겼어."

- "무슨 소리야. 브륀힐데? 아버지의 명은 곧 그대 브륀힐데가 아니겠어. 그것을 어떻게 어길 수 있단 말이니."

 

 

 

누군가 아버지 보탄이 이쪽으로 달려오고 있다고 걱정한다.

 

 

 

- "보탄의 눈에 이 여인까지 들키면 큰일이야. 이 여인만이라도 숨겨야 해."

- "아니, 우리까지 보탄에게 대항하란 말이니?"

 

 

 

그러자 지칠 대로 지쳐서 창백한 얼굴을 하고 있는 지친 지글린데가 다시 한 번 서럽게 울부짖는다.

 

 

 

- "제 걱정은 하지 마세요(Nicht sehre dich Sorge um mich) 전 그저 죽어 없어지면 그만이에요. 지그문트가 없는 이 세상 더 살아 무엇하겠어요."

- "여인이여, 당신은 살아야 합니다. 당신 뱃속에는 소중한 벨중의 자손이 자라고 있어요."

- "그렇다면 저와 이 아이를 구해주세요!"

- "그럼 서둘러 동쪽으로 가세요. (Fort denn eile, nach Osten gewandt!) 아버지 보탄은 파프너가 살고있는 동쪽의 숲은 얼씬도 못해요. 거인 형제 중 동생 파프너가 구렁이로 변해 알베리히의 반지를 지키고 있어요. 그리로 가면 안전할 겁니다. 언젠가 그 아이가 부러진 칼로 다시 새 칼을 만들 것입니다. 그 아이의 이름을 지그프리트(Siegfried, 승리의 기쁨)라고 하세요."

 

 

 

이 말에 감격한 지글린데가 칼을 들고 하늘을 향해 힘껏 외친다. "위대한 여신들이여, 감사합니다!"(O hehrstes Wunder! Herrlichstes Maid!) 불행을 짊어진 여인 물러가지만, 이 아이만은 소중히 지키겠습니다."

 

 

 

* 이 대목에서 지글린데의 노래로 나오는 감격적인 선율이 후에 <신들의 황혼> 마지막 장면에서 다시 한번, 그리고 그때만 나온다고 해서 ?구원의 동기?라는 이름이 붙었었다. 그런데 최근 밝혀진 자료에 의하면 바그너가 이것을 한 편지에서 브륀힐데와 관련된 선율이라고 했다고 한다.

 

 

 

지글린데가 몸을 피함과 동시에 보탄이 나타나자 갑자기 발퀴레들은 움츠러든다.

 

2장

 

- "어디에 있느냐, 브륀힐데, 계율을 어긴 자는 어디에 있느냐?" (Wo ist Bru"nnhild', wo die Verbrecherin?)

- "아버지, 노여움을 푸세요."

- "너희들도 한통속이냐? 그 버릇없는 것이 나의 명령을 어겼어. 감히 이 신의 명령을. 어서 나오지 못할까!"

 

 

 

숨어 있던 브륀힐데가 모습을 나타낸다.

 

 

 

- "여기 있습니다, 아버지, 어서 벌을 내리세요." (Hier bin ich, Vater: gebiete die Strafe!)

- "벌은 내가 내리는 것이 아니라 네 스스로 정한 것이다. 너를 믿고 명을 내렸는데 너는 오히려 영웅들이 나에게 대들도록 하였다. 너에게는 이미 발퀴레의 자격도 없어!"

- "…"

- "너를 다시는 발할에 보내지 않겠다. 너는 다시는 신의 만찬에 참석치 못하리라. 내게 술잔을 따르는 영광도 나에게 키스를 받는 영광도 이제는 다하였다."

 

 

 

여덟 발퀴레들이 이 청천벽력을 듣고 보탄에게 매달린다.

 

 

 

- "아버지, 어찌 그런 가혹한 벌을 내리십니까. 제발, 브륀힐데를 살려주세요, 그것은 발퀴레에게는 죽음보다 더 치욕스런 벌입니다."

 

- "너희들은 모두 물러서거라. 똑같은 벌을 받고 싶지 않으면!"

 

 

 

덜덜 떨면서 발퀴레들이 달아나듯 보탄을 떠난다. 보탄과 브륀힐데 둘 사이 정적이 잠시 흐른다. ('보탄의 고뇌의 동기'가 계속 흐른다.)

 

3장

 

- "제가 한 일이 그토록 아버지께 수치스러운 일이었던가요? (War es so schma"hlich, was ich verbrach) 제가 잘못한 것이 무엇이기에 그런 가혹한 벌을 내리시나요."

- "스스로에게 물어보거라."

- "전 아버지의 명을 따랐어요!"

- "난 분명 그 명령을 바꾸었다!"

- "그건 아버지의 진심이 아니었잖아요. 프리카가 강제로 바꾸도록 하신 거지요. 아버지는 사실은 벨중을 사랑하십니다. 그러면서도 그를 버려야만 하는 그 심정을 전 알아요."

- "그것을 알면서도 나의 명을 거역했단 말이냐?"

- "저는 아버지의 분신이자 아버지 자신이예요. 아버지께서 하시지 못하는 일을 하려고 했을 뿐입니다. 자신의 한계에 갇혀 있는 아버지를 대신하여 그 염원을 풀려고 했던 거예요. 그리고는 그 영웅을 보았어요. 용감한 영웅의 숭고한 정신을 보았어요. 저의 깊은 가슴속에 감춰진 숭고한 숨결이 뛰기 시작했어요. 한 사람의 사랑이 바로 저의 가슴속에 들어왔어요…"

- "이제 너의 밝은 영혼이 너를 안내한다. (Deinen leichten Sinn lass dich denn leiten:) 너는 나를 버렸다. 사랑의 바람을 맘껏 마시거라. 이제 네가 나의 곁을 떠나야 할 때가 온 것 같구나. 너는 나를 배신했고 그 대가는 명백하다. 다시는 이 아버지의 세계에 오지 말거라. 이미 너는 사랑이 타오르는 세계에 발을 담고 말았어. 네가 사랑의 힘을 따라 행동했으니 너 역시 너를 사랑하는 자를 따라 가거라."

 

 

 

브륀힐데는 필사적으로 항변한다.

 

 

 

- "아버지는 고귀한 가문을 만드셨어요. (Du zeugtest ein edles Geschlecht) 가장 위대한 영웅은 벨중의 자손에서 나올 겁니다."

 

- "벨중 이야기는 꺼내지도 마라. 너는 이제 내가 부여한 발퀴레 여전사로서의 신권을 잃고 이 바위산에 갇혀 깊은 잠에 빠지게 된다. 네가 바라는 대로 사랑이 꿈틀거리는 한 명의 여인으로 만들어주마. 그리고는 너를 발견하는 첫 남자의 여자가 되어라."

- "그럼 아버지, 다 좋으니 마지막 한가지 소원만 들어주세요. 제가 잠자는 바위 산 주위를 불로 둘러싸 최소한 지상에서 가장 용감한 자가 저를 깨우도록 해주세요. 아버지를 그토록 사랑한 이 딸의 마지막 소원입니다."

 

 

 

그동안 냉혹하게 딸을 꾸짖으며 미동도 않던 보탄이 이 말을 듣고는 그제서야 몸을 풀어 사랑과 괴로움이 뒤섞인 탄식을 내지른다. 아버지로서 딸을 사랑하면서도 신들의 수장으로서 계율을 지키기 위해 딸의 신권을 박탈할 수밖에 없는 보탄의 괴로운 심정이 거대한 호흡으로 다가온다. 둘은 감정이 북받쳐 마침내 포옹한다. 보탄이 얼굴 가득 눈물을 머금고 딸을 안은 채 노래한다.

 

 

 

"작별이로구나, 너 용감하고 위대한 딸아. (Leb wohl, du ku"hnes, herrliches Kind!) 내 너를 버리고 이제 두 번 다시 너를 따뜻하게 맞이할 수 없으리

내 즐거웠던 시간의 동반자이던 너를 잃게 되었구나

그러나 어느 여인을 위해서도 없었던 불길이 이 바위산을 휘감게 되리라.

비겁한 자는 브륀힐데의 바위산에 함부로 얼씬도 못하리라.

너를 신부로 맞이할 수 있는 자는 오직

나보다 더 자유로운 용사이리라. (der freier als ich,)

이 신보다…" (…der Gott!)

 

 

 

현이 아련하지만 힘있게 솟구쳐 오른다. 보탄은 마지막 힘을 다해 ?작별의 노래?를 부른다.

 

"데어 아우겐 로이히텐데스 파아…" (Der Augen leuchtendes Paar…)

(네 빛나는 두 눈동자)

나의 미소가 담겨있고

네 불같은 두 눈은

질풍처럼 나를 눈멀게 하였지.

이제 마지막으로(zum letztenmal)

이 작별의 키스(des Lebewohles letztem Kuss!)를 너에게 건네주니

별들이 너를 맞이할 그 영웅을 향해 빛나리라!

 

 

 

브륀힐데는 보탄의 작별 키스를 맞고 천천히 바위 속에 잠이 든다. 보탄은 곧 불의 신 로게를 부른다.

 

 

 

"듣거라, 로게! 여기 잘 들어라!? (Loge, ho"r! Lausche hieher!)

한때 나를 떠났지만 다시 한번 나에게 오라!

마법의 불길을 만들어 이 바위를 감싸라!

 

이 보탄의 창 끝(meines Speeres Spitze)을 두려워하는 자는 아무도

이 불길을 뚫고 가지 못하리라!"(durchschreite das Feuer nie!)

 

 

 

운명의 동기, 잠에 빠지는 브륀힐데의 동기, 로게의 동기, 영웅의 동기가 거대하 게 뒤엉키어 장관을 이루는 가운데 로게의 불길은 휘황찬란하게 타올랐다가 서서히 사라진다. (보통 "마술불꽃의 음악" ─ "Feuerzaubermusik", "Magic Fire Music"─이라고 알려진 관현악곡이다.) 불행한 두 남녀의 격정적인 사랑도, 영웅이 탄생하게 되기까지의 신의 고뇌도, 사랑하는 딸을 보내야만 하는 아버지의 쓰라린 심경도 모두 이 불길 속에서 타올랐다가 사그라든다. 오페라 역사에 찬란히 빛나는 걸작 <발퀴레>도 이렇게 타올랐다가 막이 내린다.

 

 

 

<발퀴레>의 매력적인 부부싸움

   

바그너의 4부작 악극(오페라) <니벨룽의 반지>는, 사랑에 실패한 후 격분한 나머지 사랑을 포기(그리고 저주)함으로써 세계를 지배하는 권력을 얻게 된 알베리히로부터 역시 "젊은 날의 열정"에 사로잡혀 떳떳치 못한 일을 저지른 신들의 우두머리 보탄이 권력의 원천인 '반지'를 강탈하고 이에 분개한 알베리히가 그 반지가 자신에 돌아오기 전까지 반지를 손에 넣는 모든 이들은 죽음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저주를 퍼부으면서 사건이 시작됩니다. 계약과 규율의 상징인 '창' 가지고 다니면서도 스스로 그 계약을 어겨 버린 보탄은 이미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지혜의 여신 에르다를 통해서 "신들은 이리하여 곧 멸망하게 될 것이라"는 예언을 접한 후 사건의 수습에 매달립니다. (보탄 스스로 '신들의 멸망'은 막을 수 없는 대세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물론 이것이 직접 표면화되는 것은 <신들의 황혼>에 이르러야 하겠지만요) 보탄의 사건 수습(사건 해결이 아닙니다) 전략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① '반지'를 빼앗긴 것에 한을 품은 알베리히의 반격에 대비해 발할 성을 방어할 '발할 수비대'를 조직하는 것, ② '반지'에 일어난 불미스러운 일을 돌이킬 방법은 없으나 그것을 원래 주인인 라인의 처녀들에게 돌려주어 '희생자를 최소화'하겠다는 것. 그러나 '반지'를 되찾는 일은 신 자신이 할 수는 없는 일. 자신은 당사자이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보탄이 생각해낸 방법이 바로 '신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 그간 신들의 일에 대해 전혀 모르고서도 반지를 주인에게 돌려줄 수 있는 영웅'을 탄생시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인간으로 분한 보탄은 한 여인을 취해 영웅을 만들게 되는데 그가 지그문트이지요.

 

 

 

<발퀴레>의 2막이 열리면 보탄이 브륀힐데를 만나 앞으로 있게 될 지그문트와 훈딩간의 결투에서 지그문트를 도우라는 게 그의 주문입니다. 브륀힐데가 퇴장하고 프리카가 화가 나서 옵니다. 조금 전에 훈딩으로부터 탄원을 받았는데 도대체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느냐는 것이지요. 그녀의 말에 처음에 보탄은 모른 척 하고 넘깁니다. "아, 그런 일이 있었던가? 참 모를 일이군. 둘이 사랑했던 모양이야. 두사람간의 사랑을 우리 신들이 어찌하겠소"라며 발뺌을 하지요. 이에 결혼과 가정의 여신 프리카가 바로 위의 인용문에 분개하여 이야기합니다. 그에 대한 보탄의 반응은 도무지 "말도 안 되는" 이야기입니다. "바로 오늘 보았잖소!"라는 넌센스를 말하지요.

 

 

 

- 프리카

당신이 이러한 간음을 칭찬하신다면

이 쌍둥이 오누이 사이에서 태어날

근친상간의 열매까지도

칭찬하고 축복하시겠군요!

내 심장이 멎는 것 같고, 내 머리가 어지럽습니다.

오누이 간의 부부관계라니!

오빠와 여동생이

이런 관계였던 것을 본 적이 없어요!

 

- 보탄

바로 오늘 보았잖소!

전에는 없었던 이런 일이

갑자기 생길 수도 있다는 것도 알았을 것이오.

이 두 사람이 사랑하고 있다는 것은 뚜렷하니

내 말을 들어요.

당신의 축복에 대해 온 세상이 고마워할 테니

사랑을 위한 미소와 축복으로

지그문트와 지글린데를 맺어주시오!

 

 

 

그런데 중요한 논쟁은 바로 이후부터 벌어집니다. 보탄의 엉터리 주장에 분노한 프리카는 거의 이혼도 불사하겠다는 논조로 보탄을 비난합니다. 그러자 보탄은 잠깐 숨을 멈춘 뒤 '참으로 말하기 싫었다는 듯이' 아래를 이야기합니다. 여기서부터가 두 사람의 부부싸움의 핵심입니다.

 

 

 

- 보탄

그렇게 가르쳐주어도 모르는구려.

일이란 일어나기 전에

알아야 하는 것이오.

내 말을 들어 보시오! 지금은 영웅이 필요하오.

어느 신의 보호도 받지 못하고

어느 신의 계율에도 구속되지 않는 자,

그 만이 "그 일"(필자 강조)을 해낼 수 있으리니,

그 일은 신들에게 필요하지만

신들은 할 수 없는 그런 일이라오

 

- 프리카 (당신 이제야 본 모습을 보이시는군요; 필자)

감히 어떤 영웅이 그런 일을 할 수 있단 말이요

- 보탄 : 인간들의 용감성을 무시하는거요?

- 프리카 : 인간에게 용기를 준게 누구인데요?

아무튼 이 벨중(지그문트)으로는 당신(의 주장)을 대변할 수 없어요

당신의 힘으로 그는 용감한 것이고

그에게는 당신의 모든 것이 있어요

 

- 보탄

그는 괴로움과 슬픔에서 혼자 자라났고

내가 그를 도운 적은 한 번도 없소

 

- 프리카

그럼 오늘도 그를 돕지 마세요

그에게 준 칼을 빼어버려요

 

- 보탄 : 칼!

- 프리카 : 그래요, 그 칼! 당신이 교묘하게 그의 손에 쥐어준 신비의 검

그것을 벨중이 가지고 있는 한 그는 신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웅이 아니예요.

- 보탄 : ………

 

 

 

다소 장황하게 인용한 이 구절이야말로 바로 보탄의 영웅 만들기 1차시기가 수포로 돌아가게 되어 극이 더욱 미묘하게 얽혀들게 되는 결정적인 단서가 됩니다. 보탄은 자신이 몰래 만든 영웅이 진정 신들로부터 자유로운 인간이라고 믿고 있었지만 프리카와의 부부싸움에서 그렇지 않았음을 깨닫게 된 것이지요. 스스로 덫에 걸려 버린 보탄이 바로 이 싸움 이후 브륀힐데를 만나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존재라고 한탄하는 대목은 그래서 더욱 안타깝게 들립니다. 이후 두 편 <지그프리트>와 <신들의 황혼>에서는 신으로부터 자유로운 인간영웅이 탄생하고, '반지'를 찾지만, '반지'를 찾을 수 있었던 근거인 바로 그 '인간적임(거기서는 사랑)'으로 인해 다시 파멸로 이르게 되는 과정이 펼쳐집니다.

 

'映畵 名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세계  (0) 2013.02.26
지그프리트  (0) 2013.02.22
라인의 황금 줄거리  (0) 2013.02.22
님은 먼곳에  (0) 2013.02.03
내가 살인범이다.  (0) 2013.02.03